요아킴 렌츠(b.1981)
요아킴 렌츠는 유기체적인 형태를 가진 대상에 관심이 많으며 인상파에서 영향 받은 전통적인 회화 방식을 토대로 인물과 정물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작업에는 일상적이면서 시니컬한 위트가 내포되어 있다. 바나나와 담배, 그루터기 인물 시리즈는 그의 대표적 소재이다.
독일 뮌헨 예술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션 스컬리(Sean Scully)와 귄터 포그(Günther Förg)에게 수학 받았고 스페인 마드리드의 콤플루텐세 대학교에서 교환 과정을 이수했다. 그리고 베를린 예술 대학과 훔볼트 대학에서 예술과 스페인어 교육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 로마의 마테리아(Materia)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아뜰리에 크로이츠베르크(Atelierhof Kreuzberg, Berlin, 2022)에서 "TERRAIN VAGUE" 단체전을 기획했다. 웨저 할레(Weserhalle, Berlin, 2021)에서 열린 "Auction 9", 칸티네(Kantine, Berlin)에서 열린 개인전 "Seven years of holiday"(2014), 단체전 "Figur" (2014)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현재 독일 베를린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으며 여러 전시의 큐레이팅도 해오고 있다. 2021년 국제적 아트 매거진인 Art Maze Mag Issue 21에 그의 작업이 소개되었다. 지난 봄 ‘더 프리뷰’ 아트페어를 통해 한국 감상자와 처음 만난 요아킴은 담배 시리즈가 모두 판매되며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번 키아프에서는 바나나 시리즈와 더불어 그루터기 인물 시리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Joachim Lenz(b.1981)
While Joachim Lenz’ paintings draws their inspiration for his painting from banal everyday objects and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methods and motifsdels, but they are developed and elaborated in a spontaneous mannerprocess dealing spontaneously with subject, form and color on the canvas. The resulting images emanate are pervaded by a sense of ambivalenceindefinable moods in between humor and destructiveness.
He studied painting at th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ünchen (with renowned artists such as Sean Scully and Günther Förg), and was an Erasmus-scholar at the Universidad Complutense in Madrid, Spain. He holds a degree as a Master’s degree in Artof Education in Arts from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and studied Spanish atfrom the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and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He recently had an exhibition at Materìa Gallery in Rome, Italy, and curated the group show TERRAIN VAGUE at Atelierhof Kreuzberg (Berlin, 2022). Past exhibitions include Auction 9, curated by Anna Meinecke & Norbert Bisky at (Weserhalle, Berlin in, 2021, curated by Anna Meinecke & Norbert Bisky), solo exhibition Seven Yyears of Hholiday at (Keith, Berlin in, 2017, / solo) and group exhibition Figur at (Kantine, Berlin in, 2014 / group).
He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Berlin, Germany. His paintings were featurpresented in the 21st issue ofinternational art magazine Art Maze Mag Issue 21, an international art magazine in 2021. Joachim Lenz’s work reached the South Korean audience for the first time , who first met appreciators at the "The Preview" in Seoul, and were well received well by th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with all the entire cigarette series has been sold. This has led to his participation in In addition to histhe banana series, the KIAFiaf, where in addition to his banana series, will feature a the series of his paintings that depict “stump people,” in addition to his banana series, were featured.
요아킴 렌츠는 유기체적인 형태를 가진 대상에 관심이 많으며 인상파에서 영향 받은 전통적인 회화 방식을 토대로 인물과 정물 작업을 하고 있다. 그의 작업에는 일상적이면서 시니컬한 위트가 내포되어 있다. 바나나와 담배, 그루터기 인물 시리즈는 그의 대표적 소재이다.
독일 뮌헨 예술 대학에서 회화를 전공하고 션 스컬리(Sean Scully)와 귄터 포그(Günther Förg)에게 수학 받았고 스페인 마드리드의 콤플루텐세 대학교에서 교환 과정을 이수했다. 그리고 베를린 예술 대학과 훔볼트 대학에서 예술과 스페인어 교육 석사 학위를 가지고 있다. 최근 이탈리아 로마의 마테리아(Materia) 갤러리에서 개인전을 열었고 아뜰리에 크로이츠베르크(Atelierhof Kreuzberg, Berlin, 2022)에서 "TERRAIN VAGUE" 단체전을 기획했다. 웨저 할레(Weserhalle, Berlin, 2021)에서 열린 "Auction 9", 칸티네(Kantine, Berlin)에서 열린 개인전 "Seven years of holiday"(2014), 단체전 "Figur" (2014) 등의 전시에 참여하였다. 현재 독일 베를린에서 거주하며 활동하고 있으며 여러 전시의 큐레이팅도 해오고 있다. 2021년 국제적 아트 매거진인 Art Maze Mag Issue 21에 그의 작업이 소개되었다. 지난 봄 ‘더 프리뷰’ 아트페어를 통해 한국 감상자와 처음 만난 요아킴은 담배 시리즈가 모두 판매되며 많은 주목을 받았다. 이번 키아프에서는 바나나 시리즈와 더불어 그루터기 인물 시리즈를 선보일 예정이다.
Joachim Lenz(b.1981)
While Joachim Lenz’ paintings draws their inspiration for his painting from banal everyday objects and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smethods and motifsdels, but they are developed and elaborated in a spontaneous mannerprocess dealing spontaneously with subject, form and color on the canvas. The resulting images emanate are pervaded by a sense of ambivalenceindefinable moods in between humor and destructiveness.
He studied painting at th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ünchen (with renowned artists such as Sean Scully and Günther Förg), and was an Erasmus-scholar at the Universidad Complutense in Madrid, Spain. He holds a degree as a Master’s degree in Artof Education in Arts from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and studied Spanish atfrom the Humboldt-Universität, zu Berlin and Universität der Künste, Berlin. He recently had an exhibition at Materìa Gallery in Rome, Italy, and curated the group show TERRAIN VAGUE at Atelierhof Kreuzberg (Berlin, 2022). Past exhibitions include Auction 9, curated by Anna Meinecke & Norbert Bisky at (Weserhalle, Berlin in, 2021, curated by Anna Meinecke & Norbert Bisky), solo exhibition Seven Yyears of Hholiday at (Keith, Berlin in, 2017, / solo) and group exhibition Figur at (Kantine, Berlin in, 2014 / group).
He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Berlin, Germany. His paintings were featurpresented in the 21st issue ofinternational art magazine Art Maze Mag Issue 21, an international art magazine in 2021. Joachim Lenz’s work reached the South Korean audience for the first time , who first met appreciators at the "The Preview" in Seoul, and were well received well by the received a lot of attention with all the entire cigarette series has been sold. This has led to his participation in In addition to histhe banana series, the KIAFiaf, where in addition to his banana series, will feature a the series of his paintings that depict “stump people,” in addition to his banana series, were featured.
Artist Interview
1. Tell me the reason and meaning of personifying things (e.g., bananas, stumps) and materials (bananas, cigarettes, stumps).
A: The anthropomorphization changes the status of the depicted objects in the paintings from objects of contemplation towards subjects with a secret life of their own. I figure I’ve been using it because it animates the paintings more, adds layers of humor, distortion and also allows me to paint quite freely. It raises other questions about what one is looking at from, say, a more traditional still life or portrait. For some time now it’s been working for me as a means to go in a different direction with the paintings from where I felt they were at before. The paintings gather more of a life of their own rather than representing things as seen.
2. Please explain the stump figures in detail. Would you explain who they are?
A: I don’t think of them as characters, like “who they are”, as if they had a backing story beyond the painting, as I make them. I don’t picture them as cartoon characters with specific traits, a life or even a body beyond the edges of the painting. The figures come out of my long lasting interest in portraiture painting but at the same time doubts and questions about that kind of representation. Like, you can wonder who the stump figures are, but the question almost makes no sense, because there isn’t a conclusive explanation to that. They don’t exist outside of the painting.
3. Korean viewers are attracted to the cynical jokes and colors of your work. Do you have any episodes or methods about your cynical humor or use of color?
A: To me cynical isn’t the right word. I think irony and melancholia, “darkness” and grotesque humor are present in my work and I guess I often try to counter one with the other. Not cynicism though, because that would be like a final word. I think it’s about opening up different, even contradictory points of entry into the work and not to overwhelm myself or viewers with one sensation I put forward.
The color isn’t a conceptual choice, it’s informed by many years of painting from observation and I assume that’s one reason why it’s rather organic and tonal, another just my personal taste and paintings by other artists I admire. I try to surprise myself also through the use of color, but it’s even just nuances often that do that.
4. Why do you feel special affection when you draw a child?
A: All the portraits are of people I have a close personal relationship with, like my own son. So a lot of affection goes into them.
5. Please let me know the artist you are influenced by and your current favorite artist.
A: That’s almost impossible to answer, because I’ve appreciated the work of so many artists, my preferences have changed several times and I like a lot of work that’s quite unlike my own, too. I myself couldn’t trace all influences. Philip Guston’s work and his writing have influenced me in a very obvious way, I guess. Another hero of mine is Alice Neel. But I love painting and there are and have been too many great painters for me to start and end a list and I couldn’t say there’s one favorite artist at the moment.
작가 인터뷰
1. 바나나, 담배, 그루터기와 같은 사물과 물질을 의인화한 이유와 의미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A: 의인화는 그림 속에 묘사된 사물을 자신의 은밀한 삶을 가진 대상과 사색들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다. 그림을 더 유머있고 활기차게 만들고 유 변형하며 자유롭게 그림을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더 전통적인 정물화 혹은초상화에서 무엇을 보고 있는지에 대한 또 다른 의문을 제기합니다. 얼마 동안 그것은 내가 이전에 그들이 있었다고 느꼈던 것과 다른 방향으로 그림을 그리는 수단으로 나에게 작용해 왔으며 그 그림들은 보이는 것을 표현하기보다는 그들 자신의 삶을 다른 방식으로 재결합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2. 의인화된 그루터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그들이 누구인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A: 저는 그림을 그릴때에 캐릭터를 넘어 의미가 있는 것처럼 '그들이 누구인가' 같은 캐릭터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는 그들을 특정한 특성을 가진 만화 캐릭터로 묘사하지 않습니다. 삶이나 심지어 그림의 가장자리 너머의 몸까지도요. 그 인물들은 초상화에 대한 오랜 관심이면서 동시에 표현에 대한 의심과 의문에서 나온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은 누구인지 궁금해 할 수 있지만, 그 질문에 대한 결말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림 밖에는 존재하지않습니다.
3. 한국 시청자들은 당신의 작품의 냉소적인 농담과 색감에 매료됩니다. 당신의 냉소적인 유머나 색깔 사용에 대한 에피소드나 방법이 있나요?
A: 시니컬하다는 표현이 맞는 표현인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아이러니와 우울함, 어둠과 그로테스크한 유머가 제 작품에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종종 다른 것과 맞서려고 노력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의미에서 냉소적인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마지막 단어와 같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작품에 들어가는 서로 다른 모순되는 지점까지 열어주고 하나의 감각으로 나아간다면 나 자신과 감상자들을 압도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색상은개념적인 선택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관찰한 그림에서 얻은 정보이며, 그것이 오히려 유기적이고 색조 적인 이유 중 하나이고, 또 다른 이유는 단지 제 개인적인 취향과 제가 존경하는 다른 화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색을 사용해서 제 자신을 놀래 키려고 노력하고 종종 그런 뉘앙스도 있습니다.
4. 아이를 그릴 때 특별한 애정을 느끼는 이유는?
A: 모든 초상화는 제 아들처럼 제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화 했기 때문에 많은 애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5. 당신이 영향을 받는 아티스트와 현재 가장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알려주세요.
A: 그것은 대답하기가 힘든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너무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취향 또한 여러 번 바뀌었으며 제 것과 다른 많은 작품들을 통해 매력을 느낍니다. 제 자신 스스로의 모든 영향을 추적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필립 구스턴’의 작품과 그의 글은 나에게 아주 분명한 방식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또 다른 영웅은 ‘앨리스닐’이다. 그러나 저는 영향받은 그림과 좋아하는 그림의 목록을 시작하고 끝내기에는 너무 많은 훌륭한 화가들이 있기때문에 어렵습니다. 현재로서는 가장 좋아하는 화가가 한 명 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1. Tell me the reason and meaning of personifying things (e.g., bananas, stumps) and materials (bananas, cigarettes, stumps).
A: The anthropomorphization changes the status of the depicted objects in the paintings from objects of contemplation towards subjects with a secret life of their own. I figure I’ve been using it because it animates the paintings more, adds layers of humor, distortion and also allows me to paint quite freely. It raises other questions about what one is looking at from, say, a more traditional still life or portrait. For some time now it’s been working for me as a means to go in a different direction with the paintings from where I felt they were at before. The paintings gather more of a life of their own rather than representing things as seen.
2. Please explain the stump figures in detail. Would you explain who they are?
A: I don’t think of them as characters, like “who they are”, as if they had a backing story beyond the painting, as I make them. I don’t picture them as cartoon characters with specific traits, a life or even a body beyond the edges of the painting. The figures come out of my long lasting interest in portraiture painting but at the same time doubts and questions about that kind of representation. Like, you can wonder who the stump figures are, but the question almost makes no sense, because there isn’t a conclusive explanation to that. They don’t exist outside of the painting.
3. Korean viewers are attracted to the cynical jokes and colors of your work. Do you have any episodes or methods about your cynical humor or use of color?
A: To me cynical isn’t the right word. I think irony and melancholia, “darkness” and grotesque humor are present in my work and I guess I often try to counter one with the other. Not cynicism though, because that would be like a final word. I think it’s about opening up different, even contradictory points of entry into the work and not to overwhelm myself or viewers with one sensation I put forward.
The color isn’t a conceptual choice, it’s informed by many years of painting from observation and I assume that’s one reason why it’s rather organic and tonal, another just my personal taste and paintings by other artists I admire. I try to surprise myself also through the use of color, but it’s even just nuances often that do that.
4. Why do you feel special affection when you draw a child?
A: All the portraits are of people I have a close personal relationship with, like my own son. So a lot of affection goes into them.
5. Please let me know the artist you are influenced by and your current favorite artist.
A: That’s almost impossible to answer, because I’ve appreciated the work of so many artists, my preferences have changed several times and I like a lot of work that’s quite unlike my own, too. I myself couldn’t trace all influences. Philip Guston’s work and his writing have influenced me in a very obvious way, I guess. Another hero of mine is Alice Neel. But I love painting and there are and have been too many great painters for me to start and end a list and I couldn’t say there’s one favorite artist at the moment.
작가 인터뷰
1. 바나나, 담배, 그루터기와 같은 사물과 물질을 의인화한 이유와 의미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A: 의인화는 그림 속에 묘사된 사물을 자신의 은밀한 삶을 가진 대상과 사색들로 변화시키는 작업이다. 그림을 더 유머있고 활기차게 만들고 유 변형하며 자유롭게 그림을 그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것은 더 전통적인 정물화 혹은초상화에서 무엇을 보고 있는지에 대한 또 다른 의문을 제기합니다. 얼마 동안 그것은 내가 이전에 그들이 있었다고 느꼈던 것과 다른 방향으로 그림을 그리는 수단으로 나에게 작용해 왔으며 그 그림들은 보이는 것을 표현하기보다는 그들 자신의 삶을 다른 방식으로 재결합하는 의미가 있습니다.
2. 의인화된 그루터기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주세요. 그들이 누구인지 설명해 주시겠습니까?
A: 저는 그림을 그릴때에 캐릭터를 넘어 의미가 있는 것처럼 '그들이 누구인가' 같은 캐릭터로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는 그들을 특정한 특성을 가진 만화 캐릭터로 묘사하지 않습니다. 삶이나 심지어 그림의 가장자리 너머의 몸까지도요. 그 인물들은 초상화에 대한 오랜 관심이면서 동시에 표현에 대한 의심과 의문에서 나온 것입니다. 예를 들어, 여러분은 누구인지 궁금해 할 수 있지만, 그 질문에 대한 결말을 설명하기 어렵습니다. 그림 밖에는 존재하지않습니다.
3. 한국 시청자들은 당신의 작품의 냉소적인 농담과 색감에 매료됩니다. 당신의 냉소적인 유머나 색깔 사용에 대한 에피소드나 방법이 있나요?
A: 시니컬하다는 표현이 맞는 표현인지 모르겠습니다. 저는 아이러니와 우울함, 어둠과 그로테스크한 유머가 제 작품에 존재한다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종종 다른 것과 맞서려고 노력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런의미에서 냉소적인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마지막 단어와 같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작품에 들어가는 서로 다른 모순되는 지점까지 열어주고 하나의 감각으로 나아간다면 나 자신과 감상자들을 압도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색상은개념적인 선택이 아니라 오랜 세월 동안 관찰한 그림에서 얻은 정보이며, 그것이 오히려 유기적이고 색조 적인 이유 중 하나이고, 또 다른 이유는 단지 제 개인적인 취향과 제가 존경하는 다른 화가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색을 사용해서 제 자신을 놀래 키려고 노력하고 종종 그런 뉘앙스도 있습니다.
4. 아이를 그릴 때 특별한 애정을 느끼는 이유는?
A: 모든 초상화는 제 아들처럼 제가 개인적으로 친분이 있는 사람들을 대상화 했기 때문에 많은 애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5. 당신이 영향을 받는 아티스트와 현재 가장 좋아하는 아티스트를 알려주세요.
A: 그것은 대답하기가 힘든 부분입니다. 왜냐하면 저는 너무 많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한 경험을 가지고 있고, 취향 또한 여러 번 바뀌었으며 제 것과 다른 많은 작품들을 통해 매력을 느낍니다. 제 자신 스스로의 모든 영향을 추적할 수 없습니다. 그러나 ‘필립 구스턴’의 작품과 그의 글은 나에게 아주 분명한 방식으로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합니다. 나의 또 다른 영웅은 ‘앨리스닐’이다. 그러나 저는 영향받은 그림과 좋아하는 그림의 목록을 시작하고 끝내기에는 너무 많은 훌륭한 화가들이 있기때문에 어렵습니다. 현재로서는 가장 좋아하는 화가가 한 명 있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Joachim Lenz
born 1981 in Schorndorf, lives and works in Berlin, DE
Education
2019 Graduated from the Universität der Künste and Humboldt-Universität, Berlin. M. Ed. Arts / Spanish
2004–2005 Studies at the Facultad de Bellas Artes, Universidad Complutense, Madrid
2009 Graduated from th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ünchen in the class of Günther Förg.
Studied from 2002 – 2007 in the class of Sean Scully.
Solo exhibitions
2024 "The benefit of doubt", Materia, Rome
"Extra Lights", Pförtnerhaus Project Space, Freiburg
"Sinical Banana x Wooden Person", I One Kids Museum, Seoul
2022 "SideShow", Materia, Rome
2017 "Seven years of holiday", Keith, Berlin
2014 "Painting", das Gift, Berlin, w/ Jakub Slomkowski
2011 "Homunculus", Berliner Boden, Berlin
2010 "Joachim Lenz", Cussler, Berlin
Group exhibitions
2023 "Misty With Some Smoke", Credo Bonum Gallery, Sofia
2022 "Terrain Vague", Atelierhof Kreuzberg, Berlin, curated by Joachim Lenz
"The Preview Art Fair", Obscura Gallery, Seoul, South Korea
2021 "Art Auction 9", Weserhalle, Berlin, curated by Norbert Bisky & Anna Meinecke
"Feldmalerei", conceptual open air exhibition, only released as film and photographs
2014 "Figur", Kantine, Berlin
2012 "Teer und Federn", Marquee, Berlin, curated by Joachim Lenz
"Ding bam es hat geknilgtel", Sonnenallee109, Berlin
"German Kleinformat", Walzwerk, Düsseldorf
2011 "Der abstrakte Realismus", Galerie Jahn, Munich
"Ratzel presents", Linienstraße 131, Berlin
"Weltraum Retrospektive", Lothringer 13, Munich
"Sebastian Dacey", Fabian Fobbe und Joachim Lenz, TÄT, Berlin
"Blume und Lenz", Raum und Senf, Berlin
"Homunculus", Berliner Boden, Berlin
2010 "Group Show by Sebastian Dacey", Knust Kunz Editions, Munich
"Sehen und gesehen", Berliner Boden, Berlin
2009 "Groupshow three", Forgotten Bar, Berlin
"Spielsucht", Weltraum, Munich
Publications
2023 Bananas, Monograph, Editor: Cosima Pitz
2021 Art Maze Mag Issue 21
2017 Pocket Catalogue: Joachim Lenz, self-published, with Designer Jan Motyka
born 1981 in Schorndorf, lives and works in Berlin, DE
Education
2019 Graduated from the Universität der Künste and Humboldt-Universität, Berlin. M. Ed. Arts / Spanish
2004–2005 Studies at the Facultad de Bellas Artes, Universidad Complutense, Madrid
2009 Graduated from the Akademie der Bildenden Künste, München in the class of Günther Förg.
Studied from 2002 – 2007 in the class of Sean Scully.
Solo exhibitions
2024 "The benefit of doubt", Materia, Rome
"Extra Lights", Pförtnerhaus Project Space, Freiburg
"Sinical Banana x Wooden Person", I One Kids Museum, Seoul
2022 "SideShow", Materia, Rome
2017 "Seven years of holiday", Keith, Berlin
2014 "Painting", das Gift, Berlin, w/ Jakub Slomkowski
2011 "Homunculus", Berliner Boden, Berlin
2010 "Joachim Lenz", Cussler, Berlin
Group exhibitions
2023 "Misty With Some Smoke", Credo Bonum Gallery, Sofia
2022 "Terrain Vague", Atelierhof Kreuzberg, Berlin, curated by Joachim Lenz
"The Preview Art Fair", Obscura Gallery, Seoul, South Korea
2021 "Art Auction 9", Weserhalle, Berlin, curated by Norbert Bisky & Anna Meinecke
"Feldmalerei", conceptual open air exhibition, only released as film and photographs
2014 "Figur", Kantine, Berlin
2012 "Teer und Federn", Marquee, Berlin, curated by Joachim Lenz
"Ding bam es hat geknilgtel", Sonnenallee109, Berlin
"German Kleinformat", Walzwerk, Düsseldorf
2011 "Der abstrakte Realismus", Galerie Jahn, Munich
"Ratzel presents", Linienstraße 131, Berlin
"Weltraum Retrospektive", Lothringer 13, Munich
"Sebastian Dacey", Fabian Fobbe und Joachim Lenz, TÄT, Berlin
"Blume und Lenz", Raum und Senf, Berlin
"Homunculus", Berliner Boden, Berlin
2010 "Group Show by Sebastian Dacey", Knust Kunz Editions, Munich
"Sehen und gesehen", Berliner Boden, Berlin
2009 "Groupshow three", Forgotten Bar, Berlin
"Spielsucht", Weltraum, Munich
Publications
2023 Bananas, Monograph, Editor: Cosima Pitz
2021 Art Maze Mag Issue 21
2017 Pocket Catalogue: Joachim Lenz, self-published, with Designer Jan Motyk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