율리아 지겔마이어(b.1974)
율리아 지겔마이어는 전통적인 추상 회화에 만화적 인물을 더해 몽환적이고 극대화된 감정을 만들어 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는 동양 미술사에 대한 높은 이해를 작업에 적극적으로 투영하고 있어 독일 회화 전통에 동양의 전통이 현대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만화 캐릭터의 얼굴은 여성과 소녀에 대한 고정관념을 표현한 것이다. 그의 인물 표현 기법은 동양의 수묵화에서의 선적인 표현과 그 맥락을 함께한다. 선의 힘으로 그것의 생동감을 온전히 표현하는 것이다.
막시밀리안 대학교(뮌헨, 독일)에서 미술사와 인도 미술사를 수학하고 뮌헨 예술대학에서 회화 전공으로 석사(Diploma)를 받았다. 카린 위머 컨템포러리(Karin Wimmer Contemporary, 2015), 세일러(Seiler, 2011/ 2013), 갤러리 뮬러와 플레이트(Gallery Muller und Plate, 2009/10)에서 개인전을 진행하였으며 독일을 비롯한 인도의 델리 아트 페어, 고아 뮤지엄(인도), Pecs(부다페스트, 헝가리) 등에서 열린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현재 뮌헨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율리아 지겔마이어는 이번 옵스큐라와 참여하는 키아프에서 소녀들의 수줍고도 쾌활한 웃음이 담긴 MANGA GIRLS(MANGAMÄDCHEN) 대형 인물 작업을 포함하여 다양한 캐릭터들의 표정을 주목한 작품을 선보인다.
Julia Ziegelmaier(b.1974)
Julia Ziegelmaier works on creating fantastic and dramatic emotions by drawing cartoon characters to traditional abstract paintings. She is interested in the oriental art history in her work, thus it is applied to the traditional German painting as contemporary art. A cartoon character's face typically expresses stereotypes about women and girls. Her expression of character is in the context of the Zen with oriental ink. The lines completely describe a powerful sense of visual.
She studied art history and art history of Indian at Ludwig-Maximilians University of Munich, Munich and received a Diploma in department of painting from the Academy of Fine Arts Munich, Munich in Germany. Main exhibitions are Karin Wimmer Contemporary, 2015, Seiler, 2013, Gallery Muller und Plate, 2010 and the several exhibitions were participated in Germany, India's Delhi Art Fair, Goa Museum (India), and Pecs (Budafest, Hungary).
Julia Ziegelmaier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Munich, Germany. In Kiaf+, which participates in the Obscura, various works will be presented, including the work of MANGA GIRLS (MANGAM̈DCHEN) large characters containing woman and smiles of girls.
율리아 지겔마이어는 전통적인 추상 회화에 만화적 인물을 더해 몽환적이고 극대화된 감정을 만들어 내는 작업을 하고 있다. 그는 동양 미술사에 대한 높은 이해를 작업에 적극적으로 투영하고 있어 독일 회화 전통에 동양의 전통이 현대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전형적인 만화 캐릭터의 얼굴은 여성과 소녀에 대한 고정관념을 표현한 것이다. 그의 인물 표현 기법은 동양의 수묵화에서의 선적인 표현과 그 맥락을 함께한다. 선의 힘으로 그것의 생동감을 온전히 표현하는 것이다.
막시밀리안 대학교(뮌헨, 독일)에서 미술사와 인도 미술사를 수학하고 뮌헨 예술대학에서 회화 전공으로 석사(Diploma)를 받았다. 카린 위머 컨템포러리(Karin Wimmer Contemporary, 2015), 세일러(Seiler, 2011/ 2013), 갤러리 뮬러와 플레이트(Gallery Muller und Plate, 2009/10)에서 개인전을 진행하였으며 독일을 비롯한 인도의 델리 아트 페어, 고아 뮤지엄(인도), Pecs(부다페스트, 헝가리) 등에서 열린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하였다.
현재 뮌헨에서 거주하며 활동하는 율리아 지겔마이어는 이번 옵스큐라와 참여하는 키아프에서 소녀들의 수줍고도 쾌활한 웃음이 담긴 MANGA GIRLS(MANGAMÄDCHEN) 대형 인물 작업을 포함하여 다양한 캐릭터들의 표정을 주목한 작품을 선보인다.
Julia Ziegelmaier(b.1974)
Julia Ziegelmaier works on creating fantastic and dramatic emotions by drawing cartoon characters to traditional abstract paintings. She is interested in the oriental art history in her work, thus it is applied to the traditional German painting as contemporary art. A cartoon character's face typically expresses stereotypes about women and girls. Her expression of character is in the context of the Zen with oriental ink. The lines completely describe a powerful sense of visual.
She studied art history and art history of Indian at Ludwig-Maximilians University of Munich, Munich and received a Diploma in department of painting from the Academy of Fine Arts Munich, Munich in Germany. Main exhibitions are Karin Wimmer Contemporary, 2015, Seiler, 2013, Gallery Muller und Plate, 2010 and the several exhibitions were participated in Germany, India's Delhi Art Fair, Goa Museum (India), and Pecs (Budafest, Hungary).
Julia Ziegelmaier currently lives and works in Munich, Germany. In Kiaf+, which participates in the Obscura, various works will be presented, including the work of MANGA GIRLS (MANGAM̈DCHEN) large characters containing woman and smiles of girls.
Artist Interview
1. Why are you interested in Japanese ‚Manga’?
A: I was travelling a lot in Asia and became interested in the abbreviation of traditional stories in a comic strip way, e.g. the life of Buddha: in Japanese Manga as well as India’s Amar Chitra Katha. It is a simplified way to tell stories, where the picture carries a lot of meaning. Like the pictogram it allows an international approach, it can be understood without having to read any words or necessarly understand the language, but carries on the other hand quite a lot of cultural charateristic features. I was specially interested in the stereotype of women and girls as they are depicted in the Mangas.
What makes the characters so typically Manga? Why are real girls so facinated in reenacting these characters in real life? When I was a girl, I loved to watch Johanna Spyris Heidi as an animated cartoon film as series on TV. Later I learned that it was an anime of Zuijo studio. So the figures showed Swiss children, that were drawn like Japanese Manga characters. That very interesting, I think.
2. Tell me more about the emotion of the character's expression.
A: I think what makes the characters so typically Manga is the expression of the face. So I focussed on that. I showed girls having typically manga female role stereotype expressions of joy or fear or other strong expressions. Typical character-expressions exist also in the masks of Japanese No-Theater or are played in certain stereotypes in Indian Kathakali Dance.
In Western Art Pop-Artist Roy Lichtenstein experimented in some way with enlarging cut-outs of comic-strips and showed American stereptypes in comic strips. As it is related to my topic I was most interested in paintigs like „Drowning Girl“ or „I know…Brad“, that show American women stereotypes of the early 1960ies.
3. Manga is originally a black-and-white, but your work also has colorful works. Please tell me the starting point and story of the idea for the big canvas work. What would you want to express through the colors?
A: I liked the reduced style of the black-and-white Manga. So I did a lot of the small works in black-and-white only. I started my career mainly with drawings, but as I am a painter, even with the small scale painting I got the feeling, a dash of colour could in some way add some emotion to certain works. So colours are often connected with certain emotions or scientifically classified in warm or cold colours. It makes quite a difference if you add a cool coulour like turqouise or warm coulours. Light green or a light pink also remind us of spring, delicate leaves or blossoms, so different feelings are inthis way added to the line drawing. In the larger works I focussed on seasons, like some Japanese or German poems are related to seasons. World famous is Hanami in Japan. I heard that many people enjoy cherry blossoms as a festival in Korea. When is spring cherry blossoms bloom and are celebrated by the locals with picnic etc. This is also a steretype and a genre in Japanese ink painting. So I wanted to combine the genre of Manga and the classical ink drawing. At home in Germany there is also the cherry blossoms blooming in spring, but as asymbol for the lovely spring, where young people fall in love and nature is starting again after winter’s break and the climate starts getting pleasant there is focus on the month of May, and the special light green of the leaves, that are growing then at maximum speed. It is called "May-green“. So one painting, that is with you is in thick oil colour, which I think is very European, and has quite some green, and blue in it which transportes the feeling of young leaves and a bright blue sky, as also the Manga girls on the painting represent youth. There shouldn’t be any or too many details shown, the coluors should only evoke certain emotions. I liked also the idea of the abstract plus figurative painting.
4. There is the power of line to draw Manga characters and unique also. In the East, there are pictorial words that vividly express the object with the power contained in one line, called 'Ilpilhwiji' and 'Energy Saengdong' What do you think about the expression in relation to your work? Tell me about your painting style, especially the part that expresses lines.
A: I am happy, you ask about the power of the line in my work. I was considering this quite a lot. This energy of the line links my figurative Manga work and my abstract work. What Sean Schully was telling us, when we were his students, he always said, you can’t take the figure out of the work and not replace it, if you replace it with nothing, your work will be only like wallpaper. So one solution in abstract work is to focus in a sensitive way on colours, maybe produce the colours yourself, which I sonetimes do, and create from the valeurs of the colours and the moments they meet on the canvas certain emotions. Important is equally to focus on the energy of the brush stroke. This is also done in Zen painting, which I admire, or in the Korean one-line drawing, as I understood it. It can be done with one single colour, respectively in black as unversal colour. It can be forceful but need not necessarily to be so, but should be definitely drawn with a bertain energy and rythm and should in no way look weak. This links it also with calligraphy. In Roy Lichtensteins work however the ductus of the line is not important, on the contrary, he also worked with serigrafie, that means he printed his work and produced it in quite some copies. So he focussed mainly on isolating the chosen image from the rest of the comic strip and enlarge it as a piece of art. In my work the line is important too, because it transforms the chosen image, which is isolated from the Manga, additionally into an unique piece, as one of a kind wich contrasts the stereotype imagery.
5. Please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work.
A: Generally I start working on the floor and start the first layer of colour very liquid and in a first step pour it on the canvas. So it starts with a moment of action, where also some accidental things can happen. Early in the beginning I have the idea, which colour should come together. Like in music when a triad of sound comes together it evokes a certain feeling, so it happens in the same way with colours. So memories of landscapes, moments, seasons or feelings, countries, travels or persons come to my mind and create the atmosphere of a painting. Usually I do the painting in several layers, which can take some time, as the layers have to dry. I work mostly with ink as a base, that can be Japanese ink, which is water- resoluable or German ink which is permanent. On top of that I use oil colour or encaustic, which means pigments in hot wax. The moment of painting should not be to slow to keep up the energy of the brushstroke. It this process I put the canvas on the wall or lie it down again. I need to see it from a distance and from very close. So my maximum size of the canvas is ca. 160 x 200 cm, which I can carry myself quite well. Most paintings have a title, which comes up while working. This gives some additional idea, but there should be always space left for the spectator her or himself to relate her/himself to the painting and approach it with her/his own emotions.
작가 인터뷰
1. 왜 일본 만화에 흥미를 느꼈나요?
A: 아시아를 많이 여행했을 때, 부처의 삶, 인도의 아마르치트라카타 뿐만 아니라 일본 만화에서 전통적인 이야기의 축약문법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그림이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이야기를 말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픽토그램처럼, 국제적인 접근을 허용하고, 그것은 어떤 단어를 읽거나 언어를 반드시 이해할 필요 없이 이해될 수 있지만, 반면에 꽤 많은 문화적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특히 만화에 묘사된 여성과 소녀에 대한 정형화 된 이미지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무엇이 캐릭터들을 그렇게 전형적인 만화로 만드는지, 소녀들을 통해 캐릭터로 재연하는 것이 왜 매력적인지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제가 소녀였을 때, TV에서 시리즈로 만화영화 ‘요한나 스파이리스 하이디’를 보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나중에 저는 그것이 Zuijo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스위스 어린이들을 일본의 만화 캐릭터처럼 그려서 보여준 것에 대해 매우 흥미를 느꼈습니다.
2. 작업에서 차용하는 캐릭터들의 표정과 감정에 대해 이야기 해주세요.
A: 만화라는 캐릭터를 전형적으로 만드는 것은 얼굴 표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것에 집중하였습니다. 저는 만화에서 여성 역할에서 보여지는 전형적 표현인 기쁨이나 두려움 또는 다른 강한 표현을 가진 소녀들을 표현합니다. 전형적인 캐릭터 표현은 일본 무극장의 가면과 인도 카타칼리 춤 등에서 나타납니다. 서양 미술에서 팝 아티스트인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만화 스트립의 컷아웃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했고 만화에서 미국의 입체적인 형식을 보여주었습니다. 저는 제 주제와 관련이 있는 "Drowning Girl"이나 "I know...Brad"와 같은 작업에 가장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1960년대 초반의 미국 여성들에게 내재된 고정관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만화는 원래 흑백이지만, 당신의 작품에는 다채로운 색감의 작품도 있습니다. 큰 캔버스 작품 아이디어의 시작점과 이야기를 알려주세요. 당신은 색깔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 싶나요?
A: 흑백 만화의 축소된 스타일을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작은 작품들을 흑백으로만 진행 했습니다. 색감을 통해 작은 스케일의 그림에서도 감정을 더 할 수 있습니다. 색은 종종 특정한 감정과 연결되거나 과학적으로 분류되는데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터키석 색과 같은 차가운 색의 선택과 따뜻한 색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다른 차이를 가져옵니다. 봄을 연상시키는 연두색이나 연분홍색은 섬세한 잎이나 꽃을 연상시킴으로써 블랙 드로잉에 다른 느낌을 더합니다. 계절에 초점을 맞춘 대형 작품(Hanami 2)에서는, 독일과 일본의 시에도 많이 등장하는 벚꽃 축제 ‘하나미’로부터 시작된 작업입니다. 한국에서도 벚꽃은 축제로 많은 사람들이 즐긴다고 들었습니다. 사람들은 봄 벚꽃의 만개에 소풍나와 환호합니다. 저는 만화와 동양의 고전적인 수묵화를 결합하고 싶었습니다. 저의 독일집에도 있는 벚꽃은 겨울이 끝나고 자연이 다시 시작되는 사랑스러운 봄, 젊은이들이 사랑에 빠지는 계절인 봄의 상징입니다. 꽃이 먼저 피고 5월이 되면 잎이 빠르게 자라나는 벚꽃의 연두빛은 특별하다. 이것을 “5월의 초록”이라고 부릅니다. 제 작업중에 매우 유럽적인 것이라 생각하는 두껍게 올려진 유화는 녹색과 파랑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어린 나뭇잎의 느낌과 밝고 파란 하늘 속에 젊음의 상징으로 만화의 소녀들이 있습니다. 제 작업은 세부적인 표현을 드러내기 보다는 색상으로 봄과 젊음의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추상적이거나 비유적인 그림의 형식을 저는 선호합니다.
4. 만화 캐릭터를 그리는 선에 힘이 있고 독특합니다. 동양에서는 '일필휘지'와 '기운생동'이라고 하는 한 줄에 담긴 힘으로 사물을 생생하게 표현한 회화적인 단어가 있습니다. 당신의 화풍, 특히 선을 표현하는 부분에 대해서 말해주세요.
A: 제 작업에서 선의 힘에 대해 질문 해줘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선적인 요소를 저는 많이 고려하고 있습니다. 선이 가진 에너지는 제 작업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만화 캐릭터와 추상적 작업을 연결하는 고리입니다. 나의 스승인, 션 스컬리는 “작업에서 적절한 상황과 위치, 대상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작품은 단지 벽지처럼 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제 추상 작업은 색감의 예민한 표현에 중점을 둡니다. 직접 색을 만들고 캔버스에서 색의 가치를 발현하는 순간, 감정은 만들어지고 표현됩니다. 더불어 붓의 필력에도 집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한국의 전통 회화에서 중요한 부분인 선묘화는 제가 존경하는 부분이며 작업에서 표현하고자 합니다. 선묘화의 먹은 하나의 색에서 출발하여 다양성을 함유한 보편적인 색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확실한 에너지와 리듬으로 나타난 선은 결코 약해 보이지 않습니다. 저는 이것을 서예와 연결시켜 작업합니다.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그의 작품을 인쇄하고 복제품을 실크스크린으로 작업했기에 그의 작업에서 선의 힘, 맥락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는 만화에서 이미지를 선택하고 그것을 확대하여 예술작품화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러나 제 작업에서는 선이 중요합니다. 선은 만화에서 시작된 고정관념이 깃듯 이미지를 변형하여 독특한 작업으로 만드는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5. 한국에서 소개될 만화 시리즈 외에도 당신의 대표적인 작업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작업의 과정이나 내용 등)
A: 일반적으로 저는 바닥에서 작업을 합니다. 첫 번째 층은 액체성이 강한 색으로 캔버스에 부어서 만듭니다. 다소 우연적인 일들이 일어나는 순간이 만들어집니다. 물론 작업에 들어가는 초반에는 어떤 색상을 조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음악에서 소리의 3화음이 결합되면 화성과 감정을 만들어지듯, 저는 색상에서도 동일한 발생이 일어난다고 생각합니다. 색상의 교차는 풍경, 순간, 계절, 감정, 지역, 여행, 사람 등의 기억을 환기 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레이어로 페인팅을 하며 레이어가 건조하는 것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레이어 층에는 주로 잉크로 작업을 하며 수용성인 일본 잉크와 지속성이 강한 독일 잉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들어진 색의 레이어에 납화(뜨거운 왁스)나 오일 왁스를 사용합니다. 붓의 필력을 유지하며 속도를 조절합니다. 이때는 아주 가까이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에 캔버스를 세우거나 눕히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제가 작업할 수 있는 캔버스의 최대 크기는 160x200cm입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진행하면서 제목이 정해집니다. 제가 작업의 과정을 이야기하지만, 사실 관객이 작품을 자신과 연결하고 스스로의 감정으로 접목하는데 부수적인 것이라 생각합니다.
1. Why are you interested in Japanese ‚Manga’?
A: I was travelling a lot in Asia and became interested in the abbreviation of traditional stories in a comic strip way, e.g. the life of Buddha: in Japanese Manga as well as India’s Amar Chitra Katha. It is a simplified way to tell stories, where the picture carries a lot of meaning. Like the pictogram it allows an international approach, it can be understood without having to read any words or necessarly understand the language, but carries on the other hand quite a lot of cultural charateristic features. I was specially interested in the stereotype of women and girls as they are depicted in the Mangas.
What makes the characters so typically Manga? Why are real girls so facinated in reenacting these characters in real life? When I was a girl, I loved to watch Johanna Spyris Heidi as an animated cartoon film as series on TV. Later I learned that it was an anime of Zuijo studio. So the figures showed Swiss children, that were drawn like Japanese Manga characters. That very interesting, I think.
2. Tell me more about the emotion of the character's expression.
A: I think what makes the characters so typically Manga is the expression of the face. So I focussed on that. I showed girls having typically manga female role stereotype expressions of joy or fear or other strong expressions. Typical character-expressions exist also in the masks of Japanese No-Theater or are played in certain stereotypes in Indian Kathakali Dance.
In Western Art Pop-Artist Roy Lichtenstein experimented in some way with enlarging cut-outs of comic-strips and showed American stereptypes in comic strips. As it is related to my topic I was most interested in paintigs like „Drowning Girl“ or „I know…Brad“, that show American women stereotypes of the early 1960ies.
3. Manga is originally a black-and-white, but your work also has colorful works. Please tell me the starting point and story of the idea for the big canvas work. What would you want to express through the colors?
A: I liked the reduced style of the black-and-white Manga. So I did a lot of the small works in black-and-white only. I started my career mainly with drawings, but as I am a painter, even with the small scale painting I got the feeling, a dash of colour could in some way add some emotion to certain works. So colours are often connected with certain emotions or scientifically classified in warm or cold colours. It makes quite a difference if you add a cool coulour like turqouise or warm coulours. Light green or a light pink also remind us of spring, delicate leaves or blossoms, so different feelings are inthis way added to the line drawing. In the larger works I focussed on seasons, like some Japanese or German poems are related to seasons. World famous is Hanami in Japan. I heard that many people enjoy cherry blossoms as a festival in Korea. When is spring cherry blossoms bloom and are celebrated by the locals with picnic etc. This is also a steretype and a genre in Japanese ink painting. So I wanted to combine the genre of Manga and the classical ink drawing. At home in Germany there is also the cherry blossoms blooming in spring, but as asymbol for the lovely spring, where young people fall in love and nature is starting again after winter’s break and the climate starts getting pleasant there is focus on the month of May, and the special light green of the leaves, that are growing then at maximum speed. It is called "May-green“. So one painting, that is with you is in thick oil colour, which I think is very European, and has quite some green, and blue in it which transportes the feeling of young leaves and a bright blue sky, as also the Manga girls on the painting represent youth. There shouldn’t be any or too many details shown, the coluors should only evoke certain emotions. I liked also the idea of the abstract plus figurative painting.
4. There is the power of line to draw Manga characters and unique also. In the East, there are pictorial words that vividly express the object with the power contained in one line, called 'Ilpilhwiji' and 'Energy Saengdong' What do you think about the expression in relation to your work? Tell me about your painting style, especially the part that expresses lines.
A: I am happy, you ask about the power of the line in my work. I was considering this quite a lot. This energy of the line links my figurative Manga work and my abstract work. What Sean Schully was telling us, when we were his students, he always said, you can’t take the figure out of the work and not replace it, if you replace it with nothing, your work will be only like wallpaper. So one solution in abstract work is to focus in a sensitive way on colours, maybe produce the colours yourself, which I sonetimes do, and create from the valeurs of the colours and the moments they meet on the canvas certain emotions. Important is equally to focus on the energy of the brush stroke. This is also done in Zen painting, which I admire, or in the Korean one-line drawing, as I understood it. It can be done with one single colour, respectively in black as unversal colour. It can be forceful but need not necessarily to be so, but should be definitely drawn with a bertain energy and rythm and should in no way look weak. This links it also with calligraphy. In Roy Lichtensteins work however the ductus of the line is not important, on the contrary, he also worked with serigrafie, that means he printed his work and produced it in quite some copies. So he focussed mainly on isolating the chosen image from the rest of the comic strip and enlarge it as a piece of art. In my work the line is important too, because it transforms the chosen image, which is isolated from the Manga, additionally into an unique piece, as one of a kind wich contrasts the stereotype imagery.
5. Please tell us about the process of work.
A: Generally I start working on the floor and start the first layer of colour very liquid and in a first step pour it on the canvas. So it starts with a moment of action, where also some accidental things can happen. Early in the beginning I have the idea, which colour should come together. Like in music when a triad of sound comes together it evokes a certain feeling, so it happens in the same way with colours. So memories of landscapes, moments, seasons or feelings, countries, travels or persons come to my mind and create the atmosphere of a painting. Usually I do the painting in several layers, which can take some time, as the layers have to dry. I work mostly with ink as a base, that can be Japanese ink, which is water- resoluable or German ink which is permanent. On top of that I use oil colour or encaustic, which means pigments in hot wax. The moment of painting should not be to slow to keep up the energy of the brushstroke. It this process I put the canvas on the wall or lie it down again. I need to see it from a distance and from very close. So my maximum size of the canvas is ca. 160 x 200 cm, which I can carry myself quite well. Most paintings have a title, which comes up while working. This gives some additional idea, but there should be always space left for the spectator her or himself to relate her/himself to the painting and approach it with her/his own emotions.
작가 인터뷰
1. 왜 일본 만화에 흥미를 느꼈나요?
A: 아시아를 많이 여행했을 때, 부처의 삶, 인도의 아마르치트라카타 뿐만 아니라 일본 만화에서 전통적인 이야기의 축약문법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그것은 그림이 많은 의미를 담고 있는 이야기를 말하는 간단한 방법입니다. 픽토그램처럼, 국제적인 접근을 허용하고, 그것은 어떤 단어를 읽거나 언어를 반드시 이해할 필요 없이 이해될 수 있지만, 반면에 꽤 많은 문화적 특징들을 가지고 있습니다. 저는 특히 만화에 묘사된 여성과 소녀에 대한 정형화 된 이미지에 관심이 있었습니다.
무엇이 캐릭터들을 그렇게 전형적인 만화로 만드는지, 소녀들을 통해 캐릭터로 재연하는 것이 왜 매력적인지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제가 소녀였을 때, TV에서 시리즈로 만화영화 ‘요한나 스파이리스 하이디’를 보는 것을 좋아했습니다. 나중에 저는 그것이 Zuijo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스위스 어린이들을 일본의 만화 캐릭터처럼 그려서 보여준 것에 대해 매우 흥미를 느꼈습니다.
2. 작업에서 차용하는 캐릭터들의 표정과 감정에 대해 이야기 해주세요.
A: 만화라는 캐릭터를 전형적으로 만드는 것은 얼굴 표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것에 집중하였습니다. 저는 만화에서 여성 역할에서 보여지는 전형적 표현인 기쁨이나 두려움 또는 다른 강한 표현을 가진 소녀들을 표현합니다. 전형적인 캐릭터 표현은 일본 무극장의 가면과 인도 카타칼리 춤 등에서 나타납니다. 서양 미술에서 팝 아티스트인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만화 스트립의 컷아웃을 확대하는 방법으로 실험을 했고 만화에서 미국의 입체적인 형식을 보여주었습니다. 저는 제 주제와 관련이 있는 "Drowning Girl"이나 "I know...Brad"와 같은 작업에 가장 관심이 많았습니다. 이러한 작업들은 1960년대 초반의 미국 여성들에게 내재된 고정관념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 만화는 원래 흑백이지만, 당신의 작품에는 다채로운 색감의 작품도 있습니다. 큰 캔버스 작품 아이디어의 시작점과 이야기를 알려주세요. 당신은 색깔을 통해 무엇을 표현하고 싶나요?
A: 흑백 만화의 축소된 스타일을 좋아했습니다. 그래서 많은 작은 작품들을 흑백으로만 진행 했습니다. 색감을 통해 작은 스케일의 그림에서도 감정을 더 할 수 있습니다. 색은 종종 특정한 감정과 연결되거나 과학적으로 분류되는데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터키석 색과 같은 차가운 색의 선택과 따뜻한 색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은 매우 다른 차이를 가져옵니다. 봄을 연상시키는 연두색이나 연분홍색은 섬세한 잎이나 꽃을 연상시킴으로써 블랙 드로잉에 다른 느낌을 더합니다. 계절에 초점을 맞춘 대형 작품(Hanami 2)에서는, 독일과 일본의 시에도 많이 등장하는 벚꽃 축제 ‘하나미’로부터 시작된 작업입니다. 한국에서도 벚꽃은 축제로 많은 사람들이 즐긴다고 들었습니다. 사람들은 봄 벚꽃의 만개에 소풍나와 환호합니다. 저는 만화와 동양의 고전적인 수묵화를 결합하고 싶었습니다. 저의 독일집에도 있는 벚꽃은 겨울이 끝나고 자연이 다시 시작되는 사랑스러운 봄, 젊은이들이 사랑에 빠지는 계절인 봄의 상징입니다. 꽃이 먼저 피고 5월이 되면 잎이 빠르게 자라나는 벚꽃의 연두빛은 특별하다. 이것을 “5월의 초록”이라고 부릅니다. 제 작업중에 매우 유럽적인 것이라 생각하는 두껍게 올려진 유화는 녹색과 파랑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어린 나뭇잎의 느낌과 밝고 파란 하늘 속에 젊음의 상징으로 만화의 소녀들이 있습니다. 제 작업은 세부적인 표현을 드러내기 보다는 색상으로 봄과 젊음의 감정을 불러일으킵니다. 추상적이거나 비유적인 그림의 형식을 저는 선호합니다.
4. 만화 캐릭터를 그리는 선에 힘이 있고 독특합니다. 동양에서는 '일필휘지'와 '기운생동'이라고 하는 한 줄에 담긴 힘으로 사물을 생생하게 표현한 회화적인 단어가 있습니다. 당신의 화풍, 특히 선을 표현하는 부분에 대해서 말해주세요.
A: 제 작업에서 선의 힘에 대해 질문 해줘서 감사하게 생각합니다. 선적인 요소를 저는 많이 고려하고 있습니다. 선이 가진 에너지는 제 작업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나는 만화 캐릭터와 추상적 작업을 연결하는 고리입니다. 나의 스승인, 션 스컬리는 “작업에서 적절한 상황과 위치, 대상을 고려하지 않는다면, 작품은 단지 벽지처럼 될 뿐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런 이유에서 제 추상 작업은 색감의 예민한 표현에 중점을 둡니다. 직접 색을 만들고 캔버스에서 색의 가치를 발현하는 순간, 감정은 만들어지고 표현됩니다. 더불어 붓의 필력에도 집중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한국의 전통 회화에서 중요한 부분인 선묘화는 제가 존경하는 부분이며 작업에서 표현하고자 합니다. 선묘화의 먹은 하나의 색에서 출발하여 다양성을 함유한 보편적인 색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확실한 에너지와 리듬으로 나타난 선은 결코 약해 보이지 않습니다. 저는 이것을 서예와 연결시켜 작업합니다. 로이 리히텐슈타인은 그의 작품을 인쇄하고 복제품을 실크스크린으로 작업했기에 그의 작업에서 선의 힘, 맥락은 중요하지 않습니다. 그는 만화에서 이미지를 선택하고 그것을 확대하여 예술작품화 하는데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그러나 제 작업에서는 선이 중요합니다. 선은 만화에서 시작된 고정관념이 깃듯 이미지를 변형하여 독특한 작업으로 만드는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5. 한국에서 소개될 만화 시리즈 외에도 당신의 대표적인 작업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작업의 과정이나 내용 등)
A: 일반적으로 저는 바닥에서 작업을 합니다. 첫 번째 층은 액체성이 강한 색으로 캔버스에 부어서 만듭니다. 다소 우연적인 일들이 일어나는 순간이 만들어집니다. 물론 작업에 들어가는 초반에는 어떤 색상을 조합해야 하는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있습니다. 음악에서 소리의 3화음이 결합되면 화성과 감정을 만들어지듯, 저는 색상에서도 동일한 발생이 일어난다고 생각합니다. 색상의 교차는 풍경, 순간, 계절, 감정, 지역, 여행, 사람 등의 기억을 환기 시킵니다. 일반적으로 여러 레이어로 페인팅을 하며 레이어가 건조하는 것에는 시간이 필요합니다. 레이어 층에는 주로 잉크로 작업을 하며 수용성인 일본 잉크와 지속성이 강한 독일 잉크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들어진 색의 레이어에 납화(뜨거운 왁스)나 오일 왁스를 사용합니다. 붓의 필력을 유지하며 속도를 조절합니다. 이때는 아주 가까이에서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에 캔버스를 세우거나 눕히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제가 작업할 수 있는 캔버스의 최대 크기는 160x200cm입니다. 대부분의 작업은 진행하면서 제목이 정해집니다. 제가 작업의 과정을 이야기하지만, 사실 관객이 작품을 자신과 연결하고 스스로의 감정으로 접목하는데 부수적인 것이라 생각합니다.
Julia Ziegelmaier
born 1974 in Munich, lives and works in Munich, DE
Education
2007 Diploma in Free Painting in the class of Sean Scully
2004 Master Scholar of Sean Scully, Exam in Fine Arts
2002–2007 Studies in Free Painting with Sean Scully, Academy of Fine Arts Munich
1998 Studies at the Academy of Fine Arts Munich
1996 Studies in Indology, Indian History of Arts and Anglistics, Ludwig-Maximilians, University Munich
Collections
2012 Public Purchase, Pinakothek der Moderne, Staatsgalerie Moderner Kunst, München
Solo Exhibitions
2015 "Old Pond. Frog jumps. Splash!", Gallery Karin Wimmer Contemporary, Munich, Germany
2013 "Caligari, Gallery Seiler, Munich, Germany
2011 Gallery Seiler, Munich, Germany
2009 Gallery Müller und Plate, Munich, Germany
2008 Gallery Müller und Plate, Munich, Germany
Selected Group Exhibition
2022 "ON THE ROAD",PF38, Munich
2019 "Maxvorstadt", Studioshow, Munich
Museum of Goa, Goa, India
2018 Museum of Goa, Goa, India
2016 "GRASSER1", Munich
"Advent Calender", Galerie Karin Wimmer Contemporary
2015 "Advent Calender", Galerie Karin Wimmer Contemporary
2013 Annual Exhibition, Kunstverein (art association) Ebersberg, Germany
2012 "Goa Artists" Kerkar Art Complex, Calangute, India
United Art Fair, New Delhi, India
Jahresausstellung Kunstverein Ebersberg, Germany
2011 "POP Hits" Tanzschule projects, München
Autocenter, Berlin, Germany
Vienna, Austria
2010 "Bel Etage" Ambacher Contemporary, München
"Kokolores’ Puerto Giesing, Gallery Seiler, München
"sehen und gesehen" project space, ‚Berliner Boden‘, Berlin, Germany
2009 "WELTRAUM Review" Städtische Kunsthalle LOTHRINGER13, München
"Spatial Illusions", Kunstverein Gallery közélites -Temporary City, Pécs, Hungary
"EL_MUC with Manish Pushkale", Gallery Müller & Plate, Munich, Germany
"we are here" at Kulturhalle (venue for art) Tübingen
"some kind of vacuum -‚ I love no waiting", Gallery Royal, Munich, Germany
2008 "Jerzy Zajaczkowski & Julia Ziegelmaier", Projektraum (project space) WELTRAUM, Munich, Germany
2007 ’Klasse Scully’, Whitebox, München
"Ullmann*Zajaczkowski*Ziegelmaier", Prokunst Gallery, Pfaffenhofen an der Ilm, Germany
"crossbreeding", Kunstverein/Galerie közélítes, Pécs, Ungarn
"LIEBEFARBEABSTRAKT" Gallery 2Art, Munich, Germany
2006 "Bollywood Project" with Diana Bóbics and Rita Varga, Kunsthalle Budapest, Sziget Festival, Budapest
2004 "in echt, also anders…" kunstraum (municipal project space/ Kunstverein), Munich, Germany
"Junge Kunst" Teil I, Dombergmuseum Freising, Germany
"Kunst findet Stadt", 11. Domagktage, official project event by the city of Munich
"Young Art" Part II, Academy of Fine Arts, Dresden, Germany
born 1974 in Munich, lives and works in Munich, DE
Education
2007 Diploma in Free Painting in the class of Sean Scully
2004 Master Scholar of Sean Scully, Exam in Fine Arts
2002–2007 Studies in Free Painting with Sean Scully, Academy of Fine Arts Munich
1998 Studies at the Academy of Fine Arts Munich
1996 Studies in Indology, Indian History of Arts and Anglistics, Ludwig-Maximilians, University Munich
Collections
2012 Public Purchase, Pinakothek der Moderne, Staatsgalerie Moderner Kunst, München
Solo Exhibitions
2015 "Old Pond. Frog jumps. Splash!", Gallery Karin Wimmer Contemporary, Munich, Germany
2013 "Caligari, Gallery Seiler, Munich, Germany
2011 Gallery Seiler, Munich, Germany
2009 Gallery Müller und Plate, Munich, Germany
2008 Gallery Müller und Plate, Munich, Germany
Selected Group Exhibition
2022 "ON THE ROAD",PF38, Munich
2019 "Maxvorstadt", Studioshow, Munich
Museum of Goa, Goa, India
2018 Museum of Goa, Goa, India
2016 "GRASSER1", Munich
"Advent Calender", Galerie Karin Wimmer Contemporary
2015 "Advent Calender", Galerie Karin Wimmer Contemporary
2013 Annual Exhibition, Kunstverein (art association) Ebersberg, Germany
2012 "Goa Artists" Kerkar Art Complex, Calangute, India
United Art Fair, New Delhi, India
Jahresausstellung Kunstverein Ebersberg, Germany
2011 "POP Hits" Tanzschule projects, München
Autocenter, Berlin, Germany
Vienna, Austria
2010 "Bel Etage" Ambacher Contemporary, München
"Kokolores’ Puerto Giesing, Gallery Seiler, München
"sehen und gesehen" project space, ‚Berliner Boden‘, Berlin, Germany
2009 "WELTRAUM Review" Städtische Kunsthalle LOTHRINGER13, München
"Spatial Illusions", Kunstverein Gallery közélites -Temporary City, Pécs, Hungary
"EL_MUC with Manish Pushkale", Gallery Müller & Plate, Munich, Germany
"we are here" at Kulturhalle (venue for art) Tübingen
"some kind of vacuum -‚ I love no waiting", Gallery Royal, Munich, Germany
2008 "Jerzy Zajaczkowski & Julia Ziegelmaier", Projektraum (project space) WELTRAUM, Munich, Germany
2007 ’Klasse Scully’, Whitebox, München
"Ullmann*Zajaczkowski*Ziegelmaier", Prokunst Gallery, Pfaffenhofen an der Ilm, Germany
"crossbreeding", Kunstverein/Galerie közélítes, Pécs, Ungarn
"LIEBEFARBEABSTRAKT" Gallery 2Art, Munich, Germany
2006 "Bollywood Project" with Diana Bóbics and Rita Varga, Kunsthalle Budapest, Sziget Festival, Budapest
2004 "in echt, also anders…" kunstraum (municipal project space/ Kunstverein), Munich, Germany
"Junge Kunst" Teil I, Dombergmuseum Freising, Germany
"Kunst findet Stadt", 11. Domagktage, official project event by the city of Munich
"Young Art" Part II, Academy of Fine Arts, Dresden, Germ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