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civilizations
Daphne Jiyeon Jang
Daphne Jiyeon Jang
옵스큐라 프로젝트 04 장지연
하이퍼미디어 아트-뉴비쥬얼리즘 공모 선정 작가
하이퍼미디어 아트-뉴비쥬얼리즘 공모 선정 작가
헐벗은 바벨 Uncivilizations
하이퍼미디어 아트 – 뉴비쥬얼리즘 공모를 통해 선정된 장지연 작가의 <헐벗은 바벨 Uncivilizations> 이 오는 2월 26일부터 3월 11일까지 옵스큐라에서 전시된다. 작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한 고전 조각에 현재 사회에서 일어나는비이성적인 현상들, 계층·분배·책임·소유 등의 이슈를 담아낸다. 이번 전시에는 “길 잃은 영광(Strayed Glory)” 시리즈, “바벨(Babel)”, “카르마(Karma)” 등 국내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중 “바벨” 작업은 스코틀랜드 왕립 예술원에서 개최한 139회 연례 행사에서 최고의 작품으로 선정되어 RSA KIETH PRIZE (The Royal Scottish Academy)를 수상했다.
바벨은 ‘신(神)의 문’이라는 의미를 지닌 아카드어 ‘바빌루’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혼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헐벗은 바벨Uncivilizations>은 평등과 이성적인 판단이 규범화된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무례한(uncivil) 비이성적인 일들(un civilizations)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사회적 계층 · 차별의 문제, 사회적 책임과 희생의 문제, 이익과 정의의 문제(영국과 그리스 사이의 문화유산 반환 갈등)를 과거의 시간을 통해 의문을 제기한다. 고전 조각이 가진 과거의 이야기는 현재와 뒤섞이며 ‘움직이는 조각’으로 관객과 조우한다.
작품 상영은 3D홀로그램 매체인 하이퍼비젼(HyperVSN)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기술을 통한 예술작품 상영은 국내 최초이다. 하이퍼비젼은 회전하는 4개의 날개에 장착된 LED를 통해 고해상도 3D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신개념 디스플레이로 ‘밝은’ 전시 공간에서 ‘육안’으로 3D 미디어를 볼 수 있다. 옵스큐라의 24시간 개방된 윈도우 전시 공간에서의 상영은 미디어 전시의 새로운 플렛폼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3D홀로그램 LED팬 하이퍼비전의 국내 총판인 (주)퓨쳐쉐이퍼스(대표 이상민, www.futureshapers.co.kr)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퓨쳐쉐이퍼스는 매체 접근성이 어려웠던 분야를 지원함으로써 예술과 신기술의 융합에 기여했다.◼️옵스큐라
하이퍼미디어 아트 – 뉴비쥬얼리즘 공모를 통해 선정된 장지연 작가의 <헐벗은 바벨 Uncivilizations> 이 오는 2월 26일부터 3월 11일까지 옵스큐라에서 전시된다. 작가는 많은 사람들에게 친숙한 고전 조각에 현재 사회에서 일어나는비이성적인 현상들, 계층·분배·책임·소유 등의 이슈를 담아낸다. 이번 전시에는 “길 잃은 영광(Strayed Glory)” 시리즈, “바벨(Babel)”, “카르마(Karma)” 등 국내에서 최초로 선보이는 작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 중 “바벨” 작업은 스코틀랜드 왕립 예술원에서 개최한 139회 연례 행사에서 최고의 작품으로 선정되어 RSA KIETH PRIZE (The Royal Scottish Academy)를 수상했다.
바벨은 ‘신(神)의 문’이라는 의미를 지닌 아카드어 ‘바빌루’에서 유래한 이름으로 ‘혼란’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헐벗은 바벨Uncivilizations>은 평등과 이성적인 판단이 규범화된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무례한(uncivil) 비이성적인 일들(un civilizations)에 관한 이야기다. 작가는 사회적 계층 · 차별의 문제, 사회적 책임과 희생의 문제, 이익과 정의의 문제(영국과 그리스 사이의 문화유산 반환 갈등)를 과거의 시간을 통해 의문을 제기한다. 고전 조각이 가진 과거의 이야기는 현재와 뒤섞이며 ‘움직이는 조각’으로 관객과 조우한다.
작품 상영은 3D홀로그램 매체인 하이퍼비젼(HyperVSN)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이 기술을 통한 예술작품 상영은 국내 최초이다. 하이퍼비젼은 회전하는 4개의 날개에 장착된 LED를 통해 고해상도 3D 홀로그램을 구현하는 신개념 디스플레이로 ‘밝은’ 전시 공간에서 ‘육안’으로 3D 미디어를 볼 수 있다. 옵스큐라의 24시간 개방된 윈도우 전시 공간에서의 상영은 미디어 전시의 새로운 플렛폼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3D홀로그램 LED팬 하이퍼비전의 국내 총판인 (주)퓨쳐쉐이퍼스(대표 이상민, www.futureshapers.co.kr)의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퓨쳐쉐이퍼스는 매체 접근성이 어려웠던 분야를 지원함으로써 예술과 신기술의 융합에 기여했다.◼️옵스큐라
‘Noblesse Oblige 2012’ 는 로댕의 ‘칼레의 시민’을 오마주한 작업이다. 흔히 현대 사회의 기득권 층 에서 종종 회자되는 ‘노블레스 오블리주’ 의 어원은 칼레의 시민 속 여섯 귀족으로부터 시작하는데, ‘상류층으로서 누리던 기득권에 대한, 높은 신분에 따른 도덕성의 의무’ 라는 뜻을 담고 있다. ‘Noblesse Oblige 2012’ 속 칼레의 시민은 당당히 죽음을 맞이하러 나온 대표 귀족들이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희생을 망설이고, 서로의 눈치를 보며 하나, 둘 뒤돌아 외면하는 이야기로 전개된다. ‘Noblesse Oblige 2012’는 현대 사회 속 기득권층에게 그 의미에 대한 올바른 해석과 재조명을 회유한다.
‘KARMA’는 유럽 문화에서 우리가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작자미상의 ‘카리아티드’ 혹은 ‘마스카론’이 라 불리우는 조각상-무거운 처마를 지고 있는 여인상 을 바탕으로 한 작업이다. 이들은 수 세기동안 묵묵 히 존재해오며, 현재까지 도시의 일부로, 그들 자손의 터전을 지탱하고 그들의 문화를 짊어지고 있다. ‘KARMA’ 속 여인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짊어지는 행위를 고통스러워하며 서로 눈치를 본다. 그러나 그 들의 짐을 결코 내려놓지 못하는 네러티브를 담고 있다.
‘BABEL - The Golden Boy’ 는 인류 역사에 의한, 현대 사회 속 사회 계층 구조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가장 문명화 된 현대 사회는 커뮤니티 간 평등성의 점잖음을 추구하는 듯 보이나, 여전히 기존 계 층 간의 보이지 않는, 그러나 명확한 선은 여전히 사회 속에 존재하고 있다. “바벨 - 골든 보이”는’ 단테의 신곡’ 속 ‘인페르노’에서 영감을 받아,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을 재해석하여 인간의 본질과 본성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 계층 간 간극을 움직이는 조각으로 나타낸다.
‘Strayed Glory - 길 잃은 영광’ 에서는 현재 까지도 뜨거운 이슈인 문화재 반환 혹은 보상에 대한 문제 로 영국 대영박물관과 그리스 사이에 오가는 긴장감을 그려낸다. 대영박물관의 문화재들을 각국에 반환한다면, 그 곳은 텅 빈 허울이 될 것이라는 말이 있다. 대영박물관 의 가장 큰 관객몰이를 하는 ‘엘긴 마블스’로 더욱 알려진 ‘파르테논 마블스’는 오스만 제국 시절 그리스 외교관으로 있던 ‘엘긴 경’에 의해 파르테논 신전에서 대다수의 조각들을 영국으로 몰래 들여왔다. 이러 한 문제로 영국과 그리스는 오랜 기간 반환의 타당성을 논하며 여전히 갈등하나, 이제가지는 그리스가 번번히 고배를 들었다. 그러나, 브렉시트 후 영국의 입장은 유럽 연합의 힘을 실은 그리스의 맹공으로 난처한 입장으로 반전되는 현상까지 보이고 있다. 우리는 현재 가장 문명화 된 사회 속에 살고 있지만, 인간의 나약함과 욕심은 미개한 감수성의 나락으로 품위를 추락시킨다. 결코 간단하지 않은 그러나 심플하게. 상식적으로 생각한다면 문제를 보다 명료히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문명인다운 처세를 기대한다.◼️장지연
‘KARMA’는 유럽 문화에서 우리가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작자미상의 ‘카리아티드’ 혹은 ‘마스카론’이 라 불리우는 조각상-무거운 처마를 지고 있는 여인상 을 바탕으로 한 작업이다. 이들은 수 세기동안 묵묵 히 존재해오며, 현재까지 도시의 일부로, 그들 자손의 터전을 지탱하고 그들의 문화를 짊어지고 있다. ‘KARMA’ 속 여인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짊어지는 행위를 고통스러워하며 서로 눈치를 본다. 그러나 그 들의 짐을 결코 내려놓지 못하는 네러티브를 담고 있다.
‘BABEL - The Golden Boy’ 는 인류 역사에 의한, 현대 사회 속 사회 계층 구조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가장 문명화 된 현대 사회는 커뮤니티 간 평등성의 점잖음을 추구하는 듯 보이나, 여전히 기존 계 층 간의 보이지 않는, 그러나 명확한 선은 여전히 사회 속에 존재하고 있다. “바벨 - 골든 보이”는’ 단테의 신곡’ 속 ‘인페르노’에서 영감을 받아,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을 재해석하여 인간의 본질과 본성의 유사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 계층 간 간극을 움직이는 조각으로 나타낸다.
‘Strayed Glory - 길 잃은 영광’ 에서는 현재 까지도 뜨거운 이슈인 문화재 반환 혹은 보상에 대한 문제 로 영국 대영박물관과 그리스 사이에 오가는 긴장감을 그려낸다. 대영박물관의 문화재들을 각국에 반환한다면, 그 곳은 텅 빈 허울이 될 것이라는 말이 있다. 대영박물관 의 가장 큰 관객몰이를 하는 ‘엘긴 마블스’로 더욱 알려진 ‘파르테논 마블스’는 오스만 제국 시절 그리스 외교관으로 있던 ‘엘긴 경’에 의해 파르테논 신전에서 대다수의 조각들을 영국으로 몰래 들여왔다. 이러 한 문제로 영국과 그리스는 오랜 기간 반환의 타당성을 논하며 여전히 갈등하나, 이제가지는 그리스가 번번히 고배를 들었다. 그러나, 브렉시트 후 영국의 입장은 유럽 연합의 힘을 실은 그리스의 맹공으로 난처한 입장으로 반전되는 현상까지 보이고 있다. 우리는 현재 가장 문명화 된 사회 속에 살고 있지만, 인간의 나약함과 욕심은 미개한 감수성의 나락으로 품위를 추락시킨다. 결코 간단하지 않은 그러나 심플하게. 상식적으로 생각한다면 문제를 보다 명료히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문명인다운 처세를 기대한다.◼️장지연
장지연 작가는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파리), Waterfall Mansion (뉴욕), AHAF (홍콩), Art & Design Future Lab (상하이), Talbot Rice Gallery(에딘버러), 서울 시립 미술관을 포함하여 아시아, 유럽 및 미국에서 전시되었다. 또한 가나문화재단의 후원으로 파리국제예술공동체 Cite internationale des Arts (파리)와 맨체스터 의 Art Funkl을 포함한 여러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여했으며, SONY의 4K 프로젝터 런칭쇼를 포함한 다수의 콜라보 작업을 선보이고 있다. 현재 에딘버러 대학교 (에든버러 예술 대학)에서 현대 미술 연구 석사과정 중에 있다.
윈도우 전시 : 8시 ~ 20시
내부 관람 : 월·수·금 2시, 4시 (사전신청 필수, 선착순 마감)
내부 관람 : 월·수·금 2시, 4시 (사전신청 필수, 선착순 마감)